OSI 7계층 -> 물데네전세표응(물가에 데네(걔네) 전세집 표 얻었대 응)
-서로 다른 장비간의 상호 연결에 문제가 없도록 표준을 정한 것
물리(최하위계층) > 데이터링크 > 네트워크 > 전송 > 세션 > 표현 > 응용(최상위계층)
물리, 데이터링크, 네트워크, 전송은 네트워크 지원계층
세션, 표현, 응용은 사용자 지원계층(데이터 전송단위는 모두 data)
(1) 물리계층
- 두 장비간의 전송을 위한 연결이나 전달 등의 인터페이스의 기계적, 절차적 특성을 정의
- 비트스트림을 전기적 및 기계적 수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
- 케이블, 카드 및 물리적 측면 정의를 포함하여 케리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드웨어 수단제공
- 역할 : 인코딩, 신호처리, 물리적 데이터 전송, 하드웨어 명세
- 네트워크 지원계층
- 데이터 전송단위 : 비트(bit) -> 비트(bit)를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계층
- 장비 : 허브, 리피터
- 범위 : 로컬장비간에 전송된 전기 또는 광신호
(2) 데이터링크 계층
- 인접한 통신장치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전송을 보장
- 전송프로토콜 지식 및 관리를 제공하고 물리계층, 흐름제어 및 프레임동기화에서 오류를 처리
- MAC계층과 LLC계층의 두 하위계층으로 분리
- MAC계층 : 네트워크의 컴퓨터에서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 권한과 전송권한을제어
- LLC계층 : 프레임동기화, 흐름제어 및 오류검사를 제어
- 역할 : 논리적 연결제어, 매체접근제어, 주소지정, 에러탐지와처리
- 네트워크 지원계층
- 데이터 전송단위 : 프레임(Frame)
- 장비 : 브릿지, 스위치
- 범위 : 로컬장비간에 전송된 하위수준 데이터 메세지
(3) 네트워크계층
- 상위레벨 데이터를 패킷안으로 캡슐화하여 데이터 종류에 상관없이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그 패킷을
라우팅
- 역할 : 논리적주소지정, 라우팅, 데이터그램캡슐화, 단편화와 재조합
- 네트워크지원계층
- 데이터 전송단위 : 패킷
- 프로토콜 : IP, IPv6, IP NAT, IPsec, ICMP와 같은 라우팅프로토콜
- 장비 : 라우터
- 범위 : 로컬 또는 원격장비간의 메세지
(4) 전송계층
- 헤더에 송수신지 포트번호를 포함하여 올바르게 전송될 수 있게하는 계층
- 종단 대 종단 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
- 패킷의 전송이 유효한지 확인, 전송에 실패한 패킷을 재전송하는 등 신뢰성있는 통신을 보장
- 주소설정, 오류제어, 흐름제어, 다중화 수행
- 역할 : 프로세스수준 주소지정, 다중화/역다중화연결, 분활과제조합, 흐름제어
- 데이터 전송단위 : TCP일때 세그먼트(Segment) UDP일때 Datagram
- 프로토콜 : TCP, UDP
- 장비 : 게이트웨이
- 범위 :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간의 통신
(5) 세션계층
- 양 끝단의 응용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
- 통신세션을 구성하여 포트번호를 기반으로 연결
- 역할 : 세션수집, 유지, 종류
- 데이터 전송단위 : data
- 사용자지원계층
- 프로토콜 : NetBios, SSN, 소켓, 네임드파이프, RPC
- 범위 : 로컬 또는 원격장비간의 세션
(6) 표현계층
- 응용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하위계층인 세션계층에 보내기 전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
- 세션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역할
- 역할 : 데이터번역, 압축, 암호화
- 사용자지원계층
- 데이터 전송단위 : data
- 프로토콜 : JPG, MPEG, APP, PAP
- 범위 :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표현
(7) 응용계층
-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서 IP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는 프로세스관 통신접속을 위해 설계
- 응용계층 프로토콜은 기반이되는 전송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호스트간 연결을 확립
- 응용프로세스간의 정보교환, 전자메일, 파일등의 서비스를 제공
- 역할 :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서비스
- 사용자지원계층
- 데이터 전송단위 : data
- 프로토콜 : DNS, NFS, BOOTP, SNMP, FTP, SMTP, HTTP, Telnet
- 범위 : 애플리케이션 데이터